• 방문자수
  • 오늘284
  • 어제36
  • 최대284
  • 전체 22,509

창녕조씨태복경공파
뿌리탐구

창녕조씨유래, 시조, 태복경공, 가문을빛낸인물, 향사일정, 항렬표,....

혈손및뿌리 고찰

로고 > 뿌리탐구 > 혈손및뿌리 고찰

조성좌 조부인 조하전 및 부친 조항 묘소와 정배죄인 동향 등

페이지 정보

孤竹先生 작성일24-06-08 12:39 조회127회 댓글0건

본문

□ 조성좌 조부인 조하전 및 부친 조항 묘소와 정배죄인 동향 등

`.jpg

2.jpg

3.jpg

4.jpg

5.jpg

사인(士人) 조하전(曺夏全, 1627~1684, 성좌 조부) 및 세째 부인 함창金氏묘소(합분), 맨위 사진 2장은 1995.12.3 촬영

[나 찬용9대 선조임. 통덕랑(通德郞), 합천군 봉산면 권빈리 석가산 215번지 6부 능선 해좌(亥坐). 위 상석에 자(子) 항(沆), 孫(손) 聖佐(성좌), 德佐(덕좌)로 새겨져 있음. 1970년 경술년(庚戌年) 봄에 설치함.]

-1728년(영조4) 무신혁명(戊申革命)으로 조하전公 묘소를 돌보지 않아 "묘소가 누구 것인지에 대한 논쟁"으로 1969년에 봉산면 봉계리 거안마을 뒷산 38번지에서 부득이 이곳 석가산으로 이장(移葬)해 옮. 38번지 조하전-함창김씨 무덤은 보통 묘(墓)의 4~5배나 되는 크기였고 소먹일 때 집합 장소였으며, 1960년대 당시 동네 사람들은 무덤(묘)이 아닌 작은 산(山)이라고 생각했다고 함. 묘소 앞에 큰 느티나무도 있었음. 이장할 때 보니 석회로 묘를 단장한 게 밝혀짐.

앞서 송곡(조을환 등)에서 이른바 양산공파보를 날조하여 만든 후 삼가(三嘉) 조성좌(曺聖佐)공 7세손인 조재연(曺再然, 1921~1973)에게 '이장 및 위 상석 설치'에 협조 및 참석을 요청했지만, "송곡 가짜와 함께 할 수 없다"고 거절함. 다만 조재연은 1972년에 묘산면 재실(오도재) 수리비로 1만원희사(喜捨)함. (1972년 진주시청 뒤 하숙집-1실 2인 중고교생 3食, 1달 하숙비가 5천원~6천원이었음)

마침내 2022년 7월에야 창녕조씨태복경공파 문중에서 송곡 가손(假孫, 조을환·일환·성구·택상 )들을 태복경공파보에서 퇴출시켰음.

*블로그 '삼가 우석고택에서 창녕조씨태복경공파 1차 진손 총회(창립)가 열렸다.' 참조: https://blog.naver.com/antlsguraud/223450730827

-조하전公 첫째 부인인 안동권씨는 산청 신등 단계리의 권극효(權克斅, 1608~1651) 외동딸이고, 권극효는 정언 및 수찬 등을 역임한 권도(權濤)의 차남임. 안동권씨에게는 자녀가 없음. 안동권씨 묘소는 묘산면 도옥리 177번지 개정지(介亭地) 안골[內谷] 유좌(酉坐)에 있음.

-조하전公 첫부인 안동권씨 남동생 권두원(權斗元, 1637~?, 권극효 장남)의 손서가 경북 칠곡 석전의 이세위(李世瑋, 1718~1746, 장인: 권식형)인데 이세위는 공조참의 이윤우(李潤雨, 1569~1634)의 현손이며, 이세위 자형이 무신혁명 때 처형된 여주의 조일규(趙日奎, 이신명 사위)임. 조일규(趙日奎)는 정배죄인 조행검(曺行儉, 1720~1804, 조명좌 장남)의 장인임.

-계배(繼配), 즉 삼배(三配) 함창김씨 사이에 딸 2명(권필경, 유응하)과 아들 조항(曺沆)이 차례로 태어남. (조하전공 둘째 부인 화순최씨는 요절함)

-함창김씨 아버지는 영주군 이산면 신암리 실래 출생인 김요익(金堯翊)인데, 그의 조부는 물암 김륭(勿巖 金隆, 1549~1593)임. 김요익의 종손자(從孫子)는 장령 및 울산부사를 지낸 남인 김시빈(金始鑌, 1684~1729)임.

-조하전公은 1728년 무신혁명 핵심 인물인 조성좌公의 조부임.

-조하전은 양산군수 조시량公의 아들임.

-조하전公 맏사위인 유학 권필경(權必經,1660~1730)은 상주 이안 출생으로 부교리 등을 역임한 권달수(權達手, 1469~1504)의 7세손임. 권달수는 퇴우당 조계형公의 외조부인 권회(權恢) 증손자임. 즉 맏사위 권필경은 퇴우당 외조부인 권회(權恢) 10세손임. 또한 권필경(권시경) 형님인 현감 권윤경(權允經, 1657~?)은 상주 사벌 매호 출생인 조시대(曺時大, 부: 군수 조정융) 사위임.

-조하전公 막내사위인 유학 유응하(柳應河, 부: 유백지, 조부: 정랑 유진)는 퇴계 이황 6세손인 참봉 이수연(李守淵)의 장인어른임.

-조하전公 아래동서는 풍기군수 겸암 유운룡(謙菴 柳雲龍, 동생: 영의정 유성룡) 증손인 유세명(柳世鳴, 1636~1690, 지평 및 헌납)임. 유세명(柳世鳴, 부: 유원리, 조부: 유기, 증조: 유운룡)은 1689년(숙종15) 9월 교리 재직 때 부교리 민창도(閔昌道, 장자: 무신혁명 실패로 장살된 민원보)와 함께 '1689년 6월 송시열 사사(賜死)는 정당하다'고 차자(箚子)를 올린 인물임.

-유성룡 증손인 유응하(柳應河, 1660~1713)가 조하전의 둘째사위가 된 것은, 조하전 동서 유세명의 권유가 있었고, 또 형조정랑 유진(柳袗, 1582~1635, 부: 유성룡)이 김담수(金聃壽, 1535~1603, 조응인<曺應仁, 조하전 증조부>의 자형) 아들 김정견(金廷堅, 1576~1645)과 친교가 있었던 것도 작용했을 거라고 판단됨. 김정견은 우복 정경세 문인임.

-용주 손목리의 무민당 박인(无悶堂 朴絪, 1583~1640) 둘째 아들인 수졸재 박만(守拙齋 朴曼, 1610~1682)을 애도하는 조하전의 만사(挽詞) 1편이 수졸재 유고(守拙齋 遺稿)에 있음.

6.jpg

7.jpg

8.jpg

처사(處士) 조하현(曺夏賢, 1633~1676,성좌종조부) 배위인 고령박씨(高靈朴氏) 묘소, 고령박씨 부친은 고령 도진리 남고 박응형(南皐 朴應衡, 부친: 박창선, 조부: 박정번)임.

*1601년(선조34) 생원시에 합격한 박창선(朴昌先,1579~1619, 이명: 박효선)은 1605년(선조38) 4월 선무원종공신(先宣武原從功臣, 9023명) 2등(3515명)에, 광해 등극 공로로 1614년(광해6) 10월에는 정운원종공신(定運原從功臣, 841명) 중 1등(253명)에 책훈됨.

*의병장 학암 박정번(鶴巖 朴廷璠) 묘갈명은 내암 정인홍이 지음.

[상석은 1970년 경술년(庚戌年) 봄에 설치, 봉산면 압곡리 석가산 79-5번지 7부 능선에 있는 남편 조하현 묘소 위 양좌(良坐). 위 상석에 자(子) 澂(징), 孫(손) 命佐(명좌)로 새겨져 있음. 희좌(羲佐)·순령(舜齡)은 누락돼 있음. 조명좌(1700~1728)는 조성좌(1696~1728) 6촌 동생임.]

-무신역옥추안에 조명좌(曺命佐, 처외조부: 영양현감 정석교<鄭錫僑, 우복 정경세 증손>)1728년 무신혁명 4월 28일 효수되고, 아내 강씨(강정행·姜定行, 1746년졸, 종증조: 김천 조마면 강곡리 출생인 장령·종성부사 강여호·姜汝㦿)와 아들 낙손(洛孫)·창손(昌孫)·경순(慶順)은 정배됨. 창녕조씨족보에 등재돼 있는 아들 행검(行儉, 장인: 무신혁명 때 처형된 조일규·趙日奎, 처외조부: 칠곡 석전의 이신명·李申命. 이신명 아버지는 참판 이원록, 조부는 지평 이도장)은 역옥추안에는 없음. 낙손(洛孫)은 창녕조씨족보에 있는 행검(行儉, 1720~1804)이고, 창손(昌孫)은 명검(明檢,1727~1751, 장인: 봉산면 술곡 최응률진양강씨족보에는 면검·勉儉)임. 승정원일기-역옥추안에 기록할 때 입맛대로 이름을 붙인 결과임.

-조일규(趙日奎, 1686~1728, 사위: 조행검) 처남이 칠곡 석전의 이세위(李世瑋)인데, 이세위 8촌형 이세용(李世瑢, 1680~1729)은 이인좌(李麟佐, 1695~1728) 및 이호(李昈, ?~1728)의 손위동서임. 이세홍·세위는 공조참의 이윤우(李潤雨, 1569~1634)의 현손이며, 이세위 장인 권식형(權植亨)은 권두원(權頭元, 권극효 아들)의 아들인데, 권두원은 조하전(曺夏全, 조성좌 조부)의 손아래 처남임.

-행검(行儉)맏사위 노즙(盧楫)은 함양 개평의 풍천노씨로 판단됨. 무신혁명정희량(鄭希亮, 약 44세)과 함께 처형된 노세재(盧世榟, 1683~1728, 조부: 노형시, 증조: 노일, 고조: 노사엄, 노지<盧祉, 노진 4촌형> 6세손)는 함양 개평 출생인데, 노세재 13촌아재인 노형망(盧亨望, 1613~1685)은 창원부사 조정생(曺挺生, 1585~1645) 사위임. 조숙(曺淑, 1660~1727, 증조: 조정생, 정희량 장인)의 손아래 동서가 노세극(盧世極, 1687~1756, 부: 盧湋, 조부: 盧亨濟, 증조: 盧縢, 고조: 盧士諗, 5대조: 盧禛)인데, 노세극(盧世極)은 노세재(盧世榟) 14촌동생임. 노세극무신혁명 때 처형된 조정좌(曺鼎佐, 조명좌 10촌형)의 막내(세째) 이모부이고, 노세극 조부 노형제(盧亨濟, 1618~1667, 증조: 노진)는 노형망(盧亨望, 조부: 盧士詹, 증조: 노진)의 6촌동생임. 진사 노형망(盧亨望, 1613~1685)은 창원부사 조정생(曺挺生, 조석좌·정좌·정임 고조부)의 사위임.

-이처럼 무신혁명 후 모두 정배됐지만 조정립(曺挺立, 정주목사) 가문과 조수익(趙壽益, 대사헌, 처조부: 권율 장군) 가문이, 이른바 '역적 후손들'이 결혼하여 세교를 유지하고, 처형된 조일규(趙日奎) 동생인 조희규(趙㬢奎)의 아들 조선(曺銑, 함경도 안변 정배)조세추(曺世樞)(함경도 길주 정배)과 결혼하고, 처형된 조세추 아들 조응창(曺應昌, 길주 정배)이 남원박씨와 결혼하여 아들(3명)을 낳은 것은 정배죄인들도 1744년(영조20) 전후 방면돼 상민(常民, 평민)이 됐기 때문임. 또한 경창군 이주 6세손인 이게(李垍, 1707~1755,정언) 등의 도움도 작용함. 조정립-조명좌·성좌 가문이 칠곡 석전의 광주이씨 이도장(李道長, 지평)-이원록(李元祿, 호조참판) 가문과도 무신혁명 전부터 혼인 관계를 맺고 있었음.

9.jpg

10.jpg

위 진주강씨찰방(강설·姜)공파세보1 8~9P에 강진익(姜晉益, 1678~1709, 사위: 조명좌, 은열공파) 사위가 '조명우(曺明佑)'로 돼 있는데, '조명좌(曺命佐)'가 맞음. 왜곡한 것임. 자(子)는'행검(行儉)·면검(勉儉, 창녕조씨족보에는 明儉)'으로 등재돼 있음. '행검낙손(洛孫), 면검창손(昌孫)'으로 판단됨(聖佐 아들 만래인엽인 것처럼). 무신혁명 조명좌(曺命佐)·행검(순창조씨)·명검공 묘소는 경남 합천군 묘산면 도옥리 177번지 개정지(介亭地) 안골[內谷]에 있음. 조명좌 배위 진주강씨(晉州姜氏, 1700~1746) 묘소는 봉산면 압곡리(압실) 산 76번지에 시조모(초계정씨, 부: 정창모, 조부: 동계 정온) 묘소 위에 있음.

-조명좌(曺命佐, 조성좌 6촌 동생) 장모(진양정씨)는 우곡 정경세 증손인 영양현감 정석교(鄭錫僑, 1646~1700)의 임. 즉 강진익(姜晉益, 배: 진양정씨)은 정석교(鄭錫僑, 입재 정종로 증조) 막내(네째)사위이고, 정석교 손위처남이 신자악(申自岳) 증조부인 형조참판 임하당 신후명(林下堂 申厚命, 1638~1701)임. 문경 출생인 신자악(申自岳, 1707~1749, 장인: 曺沆)조성좌(曺聖佐)의 둘째매제임. 첫째매제는 정희량 8촌동생인 정관유(鄭觀儒, 1699~1728, 장인: 조항)임. 강진익 또다른 장모(순천박씨)는 박세주(朴世胄, 1650년생) 이며, 박원영(朴元榮)의 손녀, 박공구(朴羾衢, 대사간 박이장 차남)의 증손녀임. 박세주는 울산현령 조정융(曺挺融, 조정생 6촌동생)의 사위이고, 조하양(曺夏良, 조정생 손자) 맏사위인 박성주(朴聖胄,1654~1710)의 친형임.

-또한 강진익(姜晉益, 1678~1709, 사위: 조명좌, 부: 姜必泰) 매제 진사 유몽서(柳夢瑞, 1680~1630, 부: 유후광, 장인: 강필태)는 1728년(영조4) 무신혁명 실패로 동생 유몽우(柳夢禹, 안동 출생)와 함께 처형됨. 위 현감 유후광(柳後光)은 풍기군수 유운룡(柳雲龍, 1539~1601, 동생: 영의정 유성룡)의 현손임.

-위 강진익(姜晉益) 동생 강진휴(姜震休, 1685~1756, 조명좌 처삼촌)는 신필훈(申弼勛, 신후명 아들)의 사위인데, 유학 신필훈은 신자악(申自岳, 조성좌 매제) 조부임.

-창녕조씨족보에 조명좌(曺命佐)의 정배된 배위 진주강씨조성좌·정좌·덕좌 등의 배위와 달리 정확하게 등재돼 있음. 무신혁명 9개월 전에 사망한 조석좌(曺錫佐, 1687~1727.6두 배위(안동권씨-<요절함>, 은진송씨-<1698~1743.11, 1743. 6.5 방면됐음>)도 창녕조씨족보에 바르게 등재돼 있음. 조석좌 생부(生父)가 조숙(曺淑, 1660~1727?, 실전)인데, 조숙(曺淑)무신혁명 정희량(鄭希亮, 약44세, 동계 정온 현손)의 장인임.

-행검, 면검(명검), 진양강씨, 은진송씨, 신엽, 인엽 등이 1744년(영조20) 전후에서 방면된 것은, 조탁-조명욱-조실구-조하장·하주 봉사손으로 조하장(曺夏長, 생부: 공청도사 조시일, 8촌동생: 조하주) 5촌조카 조명우(曺命佑, 1694~1758)를 1744년(영조20) 영조 특명에 의해 입적시키고, "형률을 고쳐서 감형하여 평민으로 만들라"는 영조의 어명(1735년 2월 5일, 1744년 7월 6일 및 8월 4일 등)과 같은 연장선에서 이뤄진 것임. 1735년(영조11) 2월 5일 ‘대사령(大赦令, 죄를 면제하는 명령)으로 죄인을 용서하여 석방하게 한 것(승정원일기 영조 11년 1735년 2월 5일)’도 영향을 줬음.

-묘산면 조명좌(曺命佐) 후손들은 현재 겨우 114명이 족보에 등재돼 있고, 삼가면 조성좌(曺聖佐) 후손들은 184명임. 그런데 1960년 투탁돼 들어온 고령 다산면(송곡리) 가짜들만 무려 3천5백명이 넘게 족보에 실려 있음. 이는 등재된 총 2만명의 18%~20%나 됨. 창녕조씨족보가 1960년부터 ×판이 됨. [드디어 2022년 7월 창녕조씨태복경공파문중에서 이들을 퇴출시켰음. 가짜로 판명된 게 드러난 조한유 후손이라는 자(조기종 등)들은 스스로 태복경공파문중에서 나감]

-이는, 즉 행검, 면검(명검), 진양강씨, 은진송씨, 신엽, 인엽 등이 1744년(영조20) 전후에서 방면된 것은, 능지처된 조세추(曺世樞,1703~1728)의 딸 조분순(曺分順, 길주목 정배)1728년(영조4) 무신혁명으로 풍비박산된 순창조씨(淳昌趙氏)인 조선(趙銑, 함경도 안변부 정배, 백부:조관규)에게 시집가고, 조선-조분순 딸이 무신혁명 때 장폐된 충청감사 권첨(權詹)의 증손 권완(權浣, 일명: 仁孫)과 결혼하여 묘소가 길주군 길성면 홍수동 형제봉 계좌(癸坐)에 있음. 역시 함경도 길주목으로 정배된 조세추 아들 조응창(曺應昌, 일명: 應道)이 그후 남원박씨(南原朴氏, 부: 박태표)와 결혼하여 아들(3명)-손자(5명)가 태어난 것과 같음. 조성좌 아들 인엽(仁燁)신엽(信燁)이 방면돼 고향 인근 오지 중 오지인 삼가현 신원면 원만(元萬)마을에 정착한 것과 같은 맥락임.

12.jpg

사인(士人) 조하현(曺夏賢, 1633~1676, 휘 성좌종조부) 묘소, 상석 등 석물 없음.1728년(영조4) 무신혁명(戊申革命)으로 파괴됨.

[압곡리 석가산 79-5번지 7부 능선 갑좌(甲坐), 1960년대에 봉계리에서 이장해 온 조하전 묘소 바로 위에 있음. 배위 고령박씨는 공(公)묘 위 양좌(良坐)에 있음. 묘산면 평촌리 曺진규(족보명: 曺張植)가 촬영]

-조하전公 동생인 조하현(曺夏賢) 묘소는 형님인 조하전 묘소 위에 있고, 조하현 맏사위는 임실 오수면 둔덕 출생 이이근(李頤根, 1668~1730)임. 그는 한수재 권상하(寒水齋 權尙夏) 제자이며, 이이근 아버지 참봉 이성진(李聖眞, 1645~1701, 조부: 천묵재 이상형)은 조하전公 7촌 조카인 조숙(曺淑)의 장인임.

-조하현公은 1671년 12월 덕천원생록(德川院生錄)에 등재돼 있음.

-조하현公 손위동서가 생원 이재헌(李在憲,1633~1676, 장인: 고령 도진 박응형)인데, 상주 청리면 출생인 이재헌(李在憲)은 지례현감을 지낸 이전(李㙉, 1558~1648)의 손자임. 이재헌은 1678년(숙종4) “송시열을 1675년(숙종1) 정계에서 축출한 일을 종묘(宗廟)에 고(告)해야 한다”는 이른바 고묘소(告廟疏)를 올린 인물이며, 그의 아들 생원 이인지(李麟至, 1683~1746, 그후 전북 금산군 유배)는 1736년(영조12) 3월 병진상소 때 소두(疎頭)가 돼 “송시열-송준길을 정자(程子)와 주자(朱子)에 비견하는 것은 합당하지 않으며, 문묘 종사에 반대한다”하는 경상좌도 4700여명의 연명 상소를 올린 인물임.

-조하현 둘째 사위는 상주 청리면 진사 이증엽(李增曄, 1674~1742)인데, 조부 이재관(李在寬, 1620~1689)은 참봉 이재헌(李在憲)의 8촌형이고, 이재관 계배는 주 중동면 우물리(우천) 입향조인 정랑 수암 유진(修巖 柳袗, 1582~1635, 부친: 유성룡)의 딸임. 이재관 조부는 부제학 창석 이준(蒼石 李埈, 1560~1635)임. 이증엽은 1728년 무신혁명때 거사군을 진압하기 위한 의병 명단(무신창의록)에 이름을 올림. 또한 이증엽은 상주 도남동 도남서원장(道南書院長)을 1727년, 1730년 두번 맡았고, 이재헌(李在憲)은 1692년 도남서원장을 했음. 이준(李埈) 및 이전(李㙉)은 동향인 승지 조우인(曺友仁) 및 군수 조희인(曺希仁)과 교유함.

-조하현公 사돈, 즉 조하현 아들인 조징(曺澂, 1668~1714)의 장인은 남원 산동면 목동 출생인 군수 김지성(金之聲, 1610~1673)임. 김지성 조부 금릉 김익복(金陵 金益福, 1551~1599, 시호: 충경)은 정유재란 때 순절했는데, 함양 지곡면 이조판서 옥계 노진(玉溪 盧禛)의 문하에서 수학함.

-조하현公 손자, 즉 조징 아들인 조명좌(曺命佐)·희좌(羲佐)·순령(舜齡)은 1728년(영조4) 무신혁명으로 처형 및 정배됨.

-1728년(영조4)무신혁명 실패 후 조명좌(曺命佐)·희좌(羲佐)·순령(舜齡)의 고모부인 임실 오수면 둔덕 출생인 61세 이이근(李頤根, 1668~1730, 왕자사부, 조하현 사위)과 고모인 63세 창녕조씨(1666~1731, 조하현 )는, 처남(조징·曺澂, 1668~1714)의 아들(조명좌·희좌·순령)이, 창녕조씨의 남동생(조징) 아들이 처형(조명좌) 및 정배(조희좌·순령)되고 처가(妻家) 및 친정이 몰락하는 걸 보고 절망했을 것임. 이성진(李聖眞, 1645~1701, 이이근 아버지) 외손자가1728년 무신혁명 때 처형 및 유배된 조정좌·정임(曺鼎佐·鼎任)임.

-이성진(李聖眞) 사촌형인 이성호(李聖虎,1632~1682, 조하현 자형)는 양산군수 조시량(曺時亮, 조성좌 증조부)의 사위임.

13.jpg

석가산의 쇠갓’이라는 조성좌 전설이 서려 있는 석가산 전경임. 단장한 뒤 조성좌 묘소(권빈리 석가산 230-2) 조정좌(밀양손씨)·덕좌 묘소(석가산 230-2) 조하전·하현·고령박씨 및 홍묵(鴻默, 조하현 현손) 묘소(압곡리 석가산 79-5) ④오도산

*석가산 조성좌 묘소 좌측 능선 밑에 봉서정(鳳棲亭)이 있었음.

조성좌 6촌동생인 조명좌(曺命佐)는 1728년 4월 28일 대구에서 처형됐는데, 조명좌가 만약 조성좌-정좌-덕좌와 함께 4월 1일 합천읍 옥산동 빙고현(氷庫峴, 합천리 477-50번지)에서 처형됐다면, 지금 조명좌묘소가 있는 묘산면 도옥리 177번지 개정지(介亭地)로 가지 않고, 삼가(三嘉) 일부리 거주조성좌후손들이 1930년 10월 28일 소유권 보존등기한 위 봉산면 권빈리 석가산 230-2번지에 함께 묻혔을 것임. 조정좌 배위 밀양손씨는 성주에서 1728년 5월 8일 교형(絞刑)됐음.

14.jpg

좌측 아래가 봉산면 봉계리 거안마을 뒷산 38번지 조하전-함창김씨 묘소였음. 1969년 가을에 우측 위 석가산으로 동생 조하현-고령박씨 묘소 밑으로 이장함. 묘소가 누구 것인가의 논란으로 부득이 동생인 조하현 묘소 밑으로 이장(移葬)한 것임.

15.jpg

16.jpg

17.jpg

18.jpg

19.jpg

▲사인(士人) 조항(曺沆, 1676~1715, 휘 성좌 아버지) 및 경주김씨(金氏) 묘소(합분), 비석 등 석물은 1728년(영조4) 무신혁명(戊申革命)으로 파괴됨. [8대 선조임. 묘산면 봉곡리 안새골 전 559번지 건좌(乾坐)에 있음]

-1960년대까지 벌초 등 묘소 관리를 하지 않아 버려진 묘소처럼 방치됨. 마을 어르신들은 이른바 ‘무신란, 조성좌’ 등에 대해 알고 있음.

-경주김씨 아버지 김위필(金渭弼, 1637~1674, 진사, 조성좌 외조부)은 청주 낭성 출생인 우윤 신경제(申慶濟, 1644~1726)의 손위 동서이고, 대전 회덕 출생으로 학행으로 알려진 참봉 송규창(宋奎昌, 1630~1688, 조석좌 처조부, 송준길 11촌 조카)은 김위필의 손위동서임. 즉 조항(曺沆, 조성좌 아버지) 처(경주김씨) 이모부가 송규창 및 신경제(申慶濟)임. 조석좌(曺錫佐,1687~1727.6)조성좌(曺聖佐)의 10촌 형임.

-청주 낭성 출생인 우윤 신경제(申慶濟, 조부: 신득자) 손자가 무신혁명(戊申革命) 때 청주의 핵심 인물인 충청병사 신천영(申天永)임. 신경제 외증조는 쌍책 성산리의 함양군수 설학 이대기(조응인<조항 고조부> 손위처남, 신득자 장인)임.

-김위필 아버지 김과(金鈛, 김덕민 5자)의 외삼촌은 영의정 토당 오윤겸(土塘 吳允謙)이고, 김위필 장인은 구봉우(具鳳羽, 1612~1681)임.

-김위필 사촌형 김동필(金東弼, 1630~?, 조부: 김덕민)은 양산군수 조시량(조성좌 증조부)公의 사위임.

-경주김씨는 첨지중추부사 김덕민(金德民, 1570~1651, 정주목사 조정립公 장인)의 증손녀임.

-1728년(영조4) 무신혁명 후 조항(曺沆)-경주김씨(慶州金氏) 비석은 파괴됨.

-첫째 사진(1995년 12월 3일 촬영)은 묘산면 도옥리의 曺차석(덕좌 후손, 상석 앞)임.

-둘째, 셋째, 네째 사진은 2018년 촬영한 것임.

(1728년 무신혁명 대장군 휘 聖佐 8세손 曺濽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