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문자수
  • 오늘294
  • 어제36
  • 최대294
  • 전체 22,519

창녕조씨태복경공파
뿌리탐구

창녕조씨유래, 시조, 태복경공, 가문을빛낸인물, 향사일정, 항렬표,....

혈손및뿌리 고찰

로고 > 뿌리탐구 > 혈손및뿌리 고찰

조명수와 600년 전 족보-1728년 조성좌 무신혁명!

페이지 정보

孤竹先生 작성일24-05-23 06:39 조회117회 댓글0건

본문

지난 역사를 정립하고 평가할 때, 그 드러난 형상이 아닌 이면(裏面)과 본질(本質)을 세심하게 고찰하고 상상력을 발휘해야 한다. 감성이 아닌 이성으로 말이다.

그래야 누가 가손(假孫)으로 투탁(投託)돼 족보(파보)에 등재됐는지를 쉽게 알 수 있다. 아래 내가 작성한 글을 보면, 삼라만상에서 일어나는 현상에는 (인연 등으로) 상호 연결돼 있다는 걸 알 수 있을 것이다. 사료 분석과 자료 점검 등을 통해 내가 내린 결론이다.

□ 조명수(曺命壽, 1395~1475), 그리고 1728년(영조4) 3월 무신혁명(戊申革命, 이인좌-정희량-조성좌의 난)!

생원 조명수는 1728년(영조4) 3월 무신혁명(戊申革命, 조성좌의 난) 합천 묘산 핵심 인물인 조성좌·정좌·덕좌(曺聖佐·鼎佐·德佐)와 광주 오포 및 문경 갈평·안동 가곡 주동자인 조세추·세만(曺世樞·世萬)10대(11세) 선조다. 내(조찬용) 17대(18세) 선조다.

태조 4년 1395년에 태어난 생원 조명수(曺命壽, 장인: 유인몽)의 손위동서가 상호군(上護軍) 윤우(尹瑀)다. 윤우 아버지는 고려 우왕 때 사재판사(司宰判事, 정3품)을 역임한 윤장(尹將)이다. 즉 합천 화양리 입향조인 윤장 장남이 윤우, 막내가 윤빈(尹玼)이고, 윤빈 아들이 단성현감 윤자선(尹孜善, 외손자: 박소)이다. 윤장, 윤우·빈, 윤자선 묘소는 묘산면 화양리에 있는데, 화양리는 무신혁명 합천 핵심 인물인 조성좌·덕좌(曺聖佐·德佐)가 세거한 묘산면 도옥리와 붙어 있다.

(연암 박지원은 박소 9세손이고, 무신혁명 핵심 인물인 박필현·필몽박소 7세손이다.)

윤자선 후손은 합천 묘산면 화양리와 거창 남하면 살목(윤경남 고택) 등지에 세거(世居)하고 있다.

*블로그 '1728년 무신혁명 후 밀장된 조성좌 무덤' 참조: https://m.blog.naver.com/antlsguraud/221562595341

윤우(尹瑀, 조명수 손위동서, 윤빈 ) 6세손인 장수현감 윤경남(尹景男, 1556~1614, 윤자선 5세손)은, 합천 묘산면 화양리에 세거한 윤자선(尹孜善, 외손자: 박소(朴紹))의 현손이며, 파평윤씨 대언공파(代言公派, 사재공파)다.

1728년(영조4) 무신혁명 때 화양리 유자선 8세손 윤자신(尹自莘고조: 윤이신, 부: 윤시룡, 78세)윤종영(尹宗英, 족보에 미등재)은 이웃 묘산면 도옥리 조성좌·정좌의 거의(擧義)에 가담하여 처형됐다.

윤자신(尹自莘) 고조인 윤이신(尹履臣)의 장인이 창해부사 조응순(趙應純)인데, 조응순 조카가 병조판서 이준민(李俊民, 1524∼1590, 부: 이공량, 외삼촌: 남명 조식) 사위인 승지 조원(趙瑗, 1544~1594)이다.

도촌 조응인(陶村 曺應仁, 1556~1624, 조성좌 5대조, 대구도호부사)의 둘째 자형이 윤탕신(尹湯臣, 윤경남 숙부)이고, 윤경남 사촌동생 윤정남(尹挺男)은 예조좌랑 조시일(曺時逸, 1607~1644, 조응인 손자, 조정좌 증조부)의 장인어른이다. 윤정남 바로 위 형님인 윤시남(尹時男, 1574~?, 감찰)은 조응인 맏사위다. 윤탕신 막내아들 생원 윤영남(尹英男)은 1614년(광해6) 10월 11일 광해가 841명에게 내린 정운원종공신(定運原從功臣) 1등(253명)에 책록됐다. 그 때 조응인 조우인 조정립 조정생도 1등으로 책록됐다.

*윤경남(尹景南, 부: 윤은신)의 첫째 매제 곽재용(郭再鎔, 장인: 尹殷臣)은 곽재우와 6촌지간이고, 둘째 매제 양홍부(梁弘溥)는 내암 정인홍 둘째 처남인데 함양 수동면에 세거했다. 즉 양홍부는 내암과 척을 졌던 전 금부도사(都事, 종5품) 양홍주(梁弘澍, 1550~1610, 서울에서 세거)의 동생이다. 세째 매제는 옥계 노진(玉溪 盧禛, 1518~1578)의 조카인 노사상(盧士尙, 1559~1598, 장인: 윤은신)이다.1.jpg

2.jpg

3.jpg

조상림(曺上林, 서경 부유수) 장남 조명수(曺命壽, 1395~1475, 생원)-진주유씨(晉州柳氏, 1398~1468) 묘소다. 경남 창녕군 고암면 간상리 산 111번지(29355㎡) 저전동(楮田洞, 딱밭골) 묘좌(卯坐)에 있다. 1728년 무신혁명 후 파괴된 조명수 묘갈(묘비)의 글은 1618년(광해10) 조명수 6세손 공조참판 이양당 조탁(二養堂 曺倬)이 지었고, 8세손 봉교 조정생(曺挺生)이 썼었다. 1400년대 당시 창녕 등지에서 살고 있던 조명수 장남 조순(曺珣, 1421~1482)은, 처가(妻家) 동네인 상주(尙州) 이안면 및 사벌면-공검면으로 이주했다. 즉 조순이 상주 입향조다. 조명수공(公)은 나(조찬용) 17대(18세) 할배다.

조명수(曺命壽, 조순 부친) 아내인 진주유씨 조부는 1382년(고려 우왕8) 개성에서 밀직사(密直使) 벼슬을 한 뒤 합천 묘산면 관기리 중촌으로 이사온 유번(柳藩)이다.

진주유씨 아버지인 김포군수 유인몽(柳仁夢, 유번 삼자)-아들 유형(柳亨, 유인몽 장남)의 후손들은 진주유씨대사성공파보에 무후로 돼 있다. 1728년 무신혁명 가담으로 풍비박산 됐기 때문이다?

조명수 막내(둘째)사위 송집(宋緝, 야로 출생, 종3품 大護軍)은 정희(鄭僖, 삼가현감, 증손: 내암 정인홍) 장인 송회(宋繪, 부: 현감 송수겸)의 형인데, 송집-송회 증조부인 개성부윤 송길창(宋吉昌, 장남: 송천우, 현손서: 정희)의 사위 박가권(朴可權, 개성판윤)은 내암 제자인 박이장(朴而章, 대사간)의 6대(7세)조이며, 송길창 손서는 대제학 안종선(安宗善, 1392~1452, 장인: 송천우, 사위: 정1품 영중추부사 曺錫文)이다. 여말(麗末) 및 조선초기부터 명문세가였고, 창녕曺씨-야성宋씨-서산鄭씨-순천朴씨는 혼맥으로 연결돼 있었다.4.jpg

2005년 간행 진주유씨세보 권1 25쪽(자손록)이다. 평해군사(郡事) 백통(伯通, 묘산면 가산리 이주)은 인몽(仁蒙, 김포군수, 묘: 실전, 조명수 장인)의 형님이다. 묘산 가산리 입향조들이다. 유백통(1361~1439)은 인근 묘산면 토곡마을 몽계 한철충(夢溪 韓哲冲)의 사위다.

우측 위 진주유씨 증조부인 유지택(柳之澤)의 장인이 단양우씨안정공파(丹陽禹氏安靖公派)인 우녹생(禹綠生, 부: 우팽, 조부: 우천석)이다. 우녹생 사촌형은 우국진(禹國珍, 부: 우칭), 부친은 우팽(禹伻, 형: 우칭, 부: 우천석)이다. 이런 연유로 1728년(영조4) 3월 무신혁명(戊申革命, 조성좌의 난) 실패 후, 세종~성종조에 경상좌도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도총부도총관(都摠府都摠管, 정2품)-순성좌리공신(純誠佐理功臣)을 지낸 우국진(禹國珍, 4촌동생 우녹생)의 증손 단성군 우공(丹城君 禹貢, 1407~1473, 아들: 우선언, 고조: 우칭, 5대조: 우천석) 후손들이 행방불명된 주요 사유인 것 같다. 우녹생 장남이 우극방(禹克邦), 손자가 우준(禹濬)인데, 우준 증손 우세홍(禹世洪) 대(代)에 절손(絶孫)됐다. 우공(禹貢) 절손 사례와 동일하다.

진주유씨(晉州柳氏, 증조: 유지택<柳之澤, 장인: 우녹생>) 아버지인 김포군수 유인몽(柳仁夢, 사위: 조명수)-아들 유형(柳亨, 유인몽 장남)의 후손들도 진주유씨대사성공파보에 무후로 돼 있다. 1728년 무신혁명 가담으로 풍비박산 됐기 때문이다.

좌측 아래 유백통(柳伯通, 동생: 유인몽) 손자 영해부사 유시(柳蒔, 부: 유승윤) 처부(장인)가 진주 수곡면 출생으로 1415(태종15) 정6품 호조좌랑을 지낸 하지명(河之溟, 1404~1469)이고, 처조부는 영의정 하륜(河崙, 1347~1416)의 사촌동생인 부윤(府尹, 종2품) 하유(河遊, 아들: 하지명, 부: 河允丘, 증조: 河湜)다. 유시 사위는 밀양부사 허혼(許混, ?~1491년 처형됨)과 좌의정 허침(許琛, 1444~1505) 등이다.5.jpg

진주유씨세보 권1 35쪽이다. 밀직사 유번(柳藩) 삼자(三子)인김포군수 仁夢(인몽)조명수(曺命壽, 생원) 장인어른이다. 조명수 처남인 亨(형)은 무후(无后)로 돼 있다. 유형(柳亨)의 사위가 세종 때인 1421년~1426년(세종8) 장령-우군경력-호군 등을 역임한 신정리(申丁理, 평산신씨)다. 당시 유형(柳亨, 부: 유인몽) 후손들은 합천군 묘산면 가산마을에 살고 있었다. 1728년 무신혁명 합천 주동자 조성좌(曺聖佐)는 인근 묘산면 도옥마을에 거주했다. 유형 후손절손(무후)된 것은 무신혁명(조성좌의 난) 가담으로 기인한 것이리라.

조몽길(曺夢吉, 아들: 조응인, 7세손: 조성좌)이 상주 매호에서 묘산 관기마을로 이사온 것이 외조모 흥양이씨(신계성 아내)의 묘산지역 재산 관리가 주요 원인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조몽길 고조인 조명수의 처가(妻 家, 진주유씨)가 묘산면 가산리에 세거하고 있은 것도 작용한 것 같다. 유인몽 차남 유정(柳貞, 형: 유형) 후손들은 경기 안성시에 많이 세거하고 있다.

6.jpg

진주유씨세보 권1 36쪽이다. 600년 전 기록인데도 曺命壽(조명수)유인몽(柳仁夢, 군수, 仁穉·인치 형님)사위 5인 프로필이 등재돼 있다. 합천-상주 창녕조씨족보에도 위 처럼 조명수(曺命壽)의 사위 안숭덕(安崇德)도 등재돼 있다. 일치한다. 좌측 위 인치(仁穉, 부: 유번) 형님(3인)은 평해군사(郡事) 백통(伯通, 묘산면 가산리 이주), 백규(伯逵, 묘: 서울 송파), 인몽(仁蒙, 김포군수, 묘: 실전, 조명수 장인)이다. 묘산 가산리 입향조들이다. 유백통(1361~1439)은 인근 합천군 묘산면 토곡마을 몽계 한철충(夢溪 韓哲冲)의 사위다. 막내 인치(仁穉)의 묘소 및 배위는 실전됐고, 유인치(柳仁穉, 형: 유인몽) 후손들도 족보에 모조리 무후(无后)다. 

◇ 조명수(曺命壽, 1395~1475, 생원, 조성좌 10대조) 배위가 진주유씨(晉州柳氏, 1398~1468)인데, 진주유씨 증조부인 유지택(柳之澤, 대사성, 사위: 우녹생)의 차남이 유번(柳藩)이다. 유번은 1382년(고려 우왕8) 개성에서 밀직사(密直使)를 지낸 인물인다. 고려가 1392년 망하자 그의 아들들(유백통-유인몽-유인치)이 합천군 묘산면 가산마을로 들어왔다. 조명수 아버지 조상림(曺上林, 1361~1421)은 1415년 진사에 합격하고 정3품 서경(평양)부유수(西京副留守)에 있을 때 유백통(柳伯通, 1361~1439)과 친교가 있어서 동생 유인몽(柳仁夢, 형: 유백통)의 딸(진주유씨)을 며느리(조명수 처)로 삼은 것 같다.

유백통 손자가 영해부사 유시(柳蒔, 부: 유승윤)인데, 유시 장인이 진주 수곡면 출생인 영의정 하륜(河崙, 1347~1416)의 사촌동생인 하유(河遊, 부윤, 부: 河允丘), 증조가 하식(河湜)이다.

그런데 진주유씨 아버지 유인몽(柳仁夢, 김포군수, 유번 삼자)-유인몽 장남 유형(柳亨, 처당숙: 좌의정 문희공 신개) 후손들은 진주유씨대사성공파보에 무후(无后)로 돼 있다. 유형(柳亨)의 사위가 세종 때인 1421년~1426년(세종8) 장령-우군경력-호군 등을 역임한 신정리(申丁理, 평산신씨)다. 명문세가였는데, 왜 유인몽-유형 후손들이 절손(絶孫)됐을까?

이는 아마도 합천향교 재임(齋任) 유림(柳林)이 1728년(영조4) 묘산면 도옥리 조성좌(曺聖佐)무신혁명(戊申革命, 조성좌의 난)에 가담하여 처형됐는데, 이와 연관이 있는 듯하다. 유림이 진주유씨 유인몽-유형 후손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위 김포군수 유인몽(柳仁夢, 사위: 조명수)은 유홍림(柳洪林) 7세손인데, 이조판서 유명천(柳命天, 1633~1705) 유홍림 15세손이다. 유인몽은 생원 조명수(曺命壽, 1395~1475) 장인이고, 조명수는 1728년(영조4) 3월 무신혁명(戊申革命, 조성좌의 난) 조성좌(曺聖佐)의 10대(11세)조이며, 유명천 사위인 예조좌랑 목천임(睦天任, 1673~1730)무신잔당(戊申殘黨)이라고 하여 1730년(영조6) 12월 아우 목천광(睦天光)·목천운(睦天運)과 함께 곤장에 맞아 죽었다. 목천임은 택리지 이중환의 처남이다. 또한 유명천 동생인 이조판서 유명현(柳命賢, 1643~1703)의 아들 유뢰(柳뢰)유래(柳徠)무신혁명 실패로 처형됐다. 유명천·명현 고모부가 좌참찬 죽남 오준(竹南 吳竣, 1587~1666)이다.

유인몽(柳仁夢, 사위: 생원 조명수) 11촌조카가 파주시 일원 등지에 세거한 유종윤(柳宗潤, 부: 유해, 아들: 충청감사 유세침)인데, 별제(別提, 정6풍) 유종윤의 사위 허곤(許琨, 김해부사)은 동의보감 저자인 명의 허준(許浚, 1539~1615, 부: 허론)의 조부다.

앞서 유종윤(柳宗潤, 외손: 허론, 외증손: 허준조부 유진(柳瑱)이 사의(司議, 1376년 정5품) 허시(許時, 외손: 유해, 외증손: 유종윤) 딸과 결혼했다. 허시 아버지가 개성윤(尹, 종2품) 허교(許僑)이고, 허교 형 양천군 허백(陽川君 許伯, ?~1357, 부: 허관)9세손이 허준(許浚, 외증조: 유종윤)이다.

하지만 2005년 간행한 진주유씨세보 권1 15p에는 허곤(許琨, 손자: 허준)이 등재돼 있지 않고 누락돼 있다.

*삼전도비문을 쓴 위 죽남 오준(竹南 吳峻, 1587~1666, 이조판서 유명천 고모부)은 1647년(인조25) 형조참판 이양당 조탁(二養堂 曺倬, 1552~1621) 신도비의 글도 썼다. 조명수 6세손 조탁(曺倬)무신혁명 조경수(曺景洙)·경사(曺景泗)·경강(景江, 아들: 세추)·경소(景溯) 고조부다.

진주유씨(남편: 조명수, 11세손: 조성좌·조세추) 증조가 유지택인데, 그의 배위가 단양우씨다. 단양우씨 부친은 우녹생(禹綠生, 형: 우복생, 사촌형: 우국진<禹國珍, 아들: 우염>), 조부는 우팽(禹伻, 형: 우칭), 증조는 우천석(禹天錫)이다.

특히 우팽(禹伻) 조카 우국진(禹國珍, 부: 우칭, 조부: 우천석) 후손들(단성군 우공 등)은 삼가현 병목(竝木, 대병면 병목) 등지에서 거주했는데, 그 후손들이 1728년(영조4) 무신혁명(戊申革命, 이인좌의 난) 뒤쯤 행불(절손)됐다.

합천 묘산면 화양동 윤이신(尹履臣, 형: 윤경남 부친 윤은신) 현손 윤자신(尹自莘, 차남: 윤사덕)무신혁명 실패로 처형됐는데, 윤자신 차남 윤사덕(尹師德, 1693~?)의 장인이 우세만(禹世萬, 1672~1728.4.3)인데, 우세만정희량(鄭希亮, 약 44세) 휘하에서 부지휘(副指揮)로 활약하다가 동생인 중군(中軍) 우세장(禹世章, 1677~1728.4.3)과 함께 처형됐다. 우세만 우세장갑자기 사라진 우팽(禹伻)-우국진(禹國珍)-우염(禹廉, 6촌: 우인렬)-우수로-우공(禹貢, 단성군, 1407~1473)과 연관이 있는 듯 하다.

삼가현 병목은 유지택(柳之澤, 유번 부친)-유번(柳藩, 조명수 처조부)이 세거한 묘산면 관기리와 30km 떨어져 있다. 처형된 무신혁명 귄만항(權萬恒, 삼가현좌수, 권양 증손)병목 인근 삼가현 대평 성리에 대대로 세거했다. 현풍현감 권양(權瀁) 사위가 정주목사 조정립(曺挺立, 1583~1660, 조명수 6세손, 조성좌 고조)이다.

*위 우팽 손자 우인렬(禹仁烈. 6촌: 우염<禹廉, 손자: 안주목사 우공>)은 1403년(태종3)에 훈관(勳官)인 검교 좌정승(檢校左政丞, 종3품)을 역임했고, 동생 우희렬(禹希烈, ?~1420)은 태종 때 청주목사를 지냈다.

이는 대구 동구 옻골마을 경주최씨 최진남(崔鎭南, 진주목사, 조호·曺灝 장인)-최경식(崔慶湜, 장령, 부: 최진남) 후손들이 절손(絶孫)된 것과, 삼가현 병목(竝木, 합천 대병면 대지리) 우천석-우칭-우국진(禹國珍)-우염(禹廉)-우수로(禹秀老)-우공(禹貢, 안주목사, 도총부도총관)-우선언(禹善言) 후손들이 1728년 뒤쯤 사라져 무후(无后)가 된 것처럼, 1728년 무신혁명 가담으로 풍비박산됐기 때문일 것이다. 조호(曺灝)조정좌(曺鼎佐) 7촌 아재이고, 조성좌(曺聖佐) 9촌 아재다.

*유인몽(조명수 장인) 형님이 유백통(柳伯通, 1361~1439, 평해군수)인데, 유백통 묘소 및 신도비와 사당(祠堂, 노봉사)이 합천 묘산면 도옥리(조성좌 고향)에서 3.5km 떨어진 묘산면 가산리에 있다. 유백통은 인근 묘산면 토곡(공곡)마을 몽계 한철충(夢溪 韓哲冲)의 사위다. 1차광복위사건 때 처형당한 가야면 사촌리 한회(韓會, 외조부: 鄭健)가 한철충 9세손이다.

문희공 신개(文僖公 申槩, 1374~1446, 유형 아내의 오촌당숙)는 신자악(申自岳, 1707~1749, 문경 마성면 출생)의 11대(12세) 선조인데, 신자악은 묘산면 도옥리 출생인 무신혁명 합천 핵심 인물인 조성좌·덕좌(曺聖佐·德佐) 매제다. 유형(柳亨, 부: 유인몽)은 조명수(曺命壽, 11세손: 조성좌·덕좌)의 처남이다.

형조참판 임하당 신후명(林下堂 申厚命, 1638~1701, 신개 9세손, 신자악 증조)의 넷째아들인 영덕현령 신필회(申弼誨, 1678~1739, 신개 10세손, 백호 윤휴 손서)는 1728년(영조4) 무신혁명에 연루돼 전라도 흥양현(興陽縣, 고흥군)으로 정배돼 죽었다. 신필회 장인은 격쟁윈청서(擊錚原情書)를 작성한 윤하제(尹夏濟, 1645~?, 윤휴 차남)다. 윤하제 동생인 윤경제조카들(4명)도 무신혁명에 연루돼 죽임을 당했다.

◇ 조명수(曺命壽, 1395~1475) 손아래동서인 청주목사 권지(權至, 파주 진동면 출생, 1454년 문과 급제, 부: 권순, 조부: 權肅)는 권보(權溥) 6세손이고, 권근(權近, 1352~1409, 대제학, 부: 권희, 조부: 권고)은 권보 증손이다. 권율 장군은 권근 7세(6대)손이고, 무신혁명 실패로 장살된 충청감사 권첨(權詹, 1664~1730, 권근 11세손)권보 14세손이다. 안동권씨추밀공파다.

1728년 3월 무신혁명으로 장폐된 서천군 판교면 출생인 권첨(權詹, 충청감사)증손녀는 정배죄인 조윤국(曺允國, 1734~1796, 조세추 사촌동생)에게 시집을 갔고, 권첨 증손자인 정배죄인 권완(權浣, 1763~?)은 정배죄인 조선(趙銑, 趙명규 조카)-창녕조씨(昌寧曺氏, 조세추 )과 결혼했다. 조세추 할머니(여주이씨)의 동생이 성호 이익(星湖 李瀷, 1681~1763, 자형: 조하주<손자: 조세추>)이다.

조세추(曺世樞)조성좌(曺聖佐)조명수(曺命壽) 11세손이다.7.jpg

형조판서 정흠지(鄭欽之, 1378~1439, 조명수 동서 부친, 정인손 부친) 묘소다. 경기 남양주시 진접읍 장현리 봉현마을에 있다. <이미지 출처: 석담 김한희 블로그>

생원 조명수(曺命壽)의 또다른 손위동서가 경력(經歷, 종4품) 정인손(鄭麟孫, 정흠지 차남)인데, 그의 아버지가 천문서(天文書)인 칠정산내외편(七政算內外篇) 편찬에 기여한 형조판서 정흠지(鄭欽之, 1378~1439)다.

동래정씨대동보 권1 교서랑공보파 18쪽에 정인손 후손도 절손(絶孫)돼 있다. 무신혁명 가담이 그 원인일까?8.jpg

순흥안씨대동보 25권 충정공파 12쪽이다. 崇德(숭덕) 장인이 曺命壽(조명수, 1395~1475)다. 600년 전에 기록한 족보인데도 세밀하고 정확하게 돼 있다. 진주유씨족보 및 창녕조씨족보와 일치한다.

◇ 조명수 맏사위가 조선 전기 때 사온서 직장(司醞署 直長, 정7품)을 지낸 안숭덕(安崇德)인데, 그의 아버지가 1447년(세종29) 동부승지를 지낸 안질(安質)이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안질이 1447년 1월 13일 사망하자 세종이 관곽(棺槨)과 미두(米豆) 30석, 종이 1백 권, 석회(石灰) 40석을 내리고, 또 제사를 내리게 했다.

안숭덕-창녕조씨(조명수) 묘소는 예천군 유천면 화지리에 있고, 장남 안효조(安孝祖, 1445~1507)는 충무위(忠武衛) 사직(司直, 정5품)을 지냈다. 순흥안씨충정(안준·安俊)공파다. 예천 개포면 노포리에 세거했다. 노포리는 창녕조씨(조명수) 오빠인 조순(曺珣, 1421~1482, 부사직)이 이사와 거주한 상주 이안 및 사벌과는 30km 떨어져 있다.

또한 조명수 막내(둘째)사위 송집(宋緝, 야로 출생, 종3품 大護軍, 손위동서: 직장 안숭덕)은 정희(鄭僖, 삼가현감, 증손: 내암 정인홍) 장인 송회(宋繪, 부: 현감 송수겸)의 형인데, 송집-송회 증조부인 개성부윤(府尹) 송길창(宋吉昌, 장남: 송천우, 현손서: 정희)의 사위 박가권(朴可權, 개성판윤, 처남: 정3품 상호군 宋千祐)은 내암 제자인 박이장(朴而章, 1547~1622, 대사간)의 6대(7세)조이며, 송길창 손서는 대제학 안종선(安宗善, 1392~1452, 장인: 송천우, 사위: 영의정 曺錫文)이다. 여말(麗末) 및 조선초기부터 명문세가였고, 야성宋씨-창녕曺씨-서산鄭씨-순천朴씨는 혼맥으로 연결돼 있었다.

조순(曺珣, 부: 조명수, 장인: 서천군수 권회) 손위동서 정사주(鄭師周, 현감 정귀령 손자)는 상주 인근 예천 우망동과 광주(군포) 속달동에 세거했는데, 정사주 사촌동생이 광주(군포) 속달동 출생인 호조판서·우참찬 정난종(鄭蘭宗, 1433~1489, 정귀령 손자)이며, 정난종 아들이 정광보(鄭光輔, 군수)·광필(光弼, 영의정)이다. 또한 조순 처남은 창원부사 권유순(權有順, ?~1463, 서천군수 권회 장남)이다.

*광주 오포동에 세거한 이천부사 조명욱(曺明勗, 1572~1637, 조세추 고조)의 세째사위가 광주(군포) 속달동 출생인 정지숙(鄭之叔, 1606~?, 정광보 6세손, 鄭龜齡 9세손, 영의정 정태화 12촌동생)인데, 정지숙 손자가 유학 정진주(鄭鎭周, 1676~?, 정귀령 11세손)다. 정진주 인척인 정석주(鄭晰周, 동래정씨직제공파보에 누락)무신혁명 조세추(曺世樞)의 외조부다. 정진주·석주는 우참찬 정난종(鄭蘭宗)의 9세손이기도 하다. 영의정 정태화 동생 좌의정 정치화(鄭致和, 1609~1677, 정난종 7세손, 정귀령 9세손)는 정주목사 오계 조정립(梧溪 曺挺立, 1583~1660, 조성좌 고조)이 우거한 합천 봉산면 금봉서사(金鳳書舍, 현 봉서정)로 찾아오는 등 교유했다.

*정지숙(鄭之叔, 장인: 이천부사 조명욱) 사촌형 대사간 정지호(鄭之虎, 1665~?)는 1675년(숙종1) 귀양 간 송시열의 죄악을 종묘에 고묘(告廟)해야 한다고 청(請)한 인물이다. 그후 정지호는 집권(서인)들로부터 두고두고 생원 이재헌(李在憲, 1631~1696) 및 생원 이인지(李麟至, 1683~1746, 부: 이재헌)와 함께 악인·도적으로 매도됐다. “송시열을 바판하고, 송시열-송준길을 정자(程子)와 주자(朱子)에 비견하는 것은 합당하지 않으며, 문묘 종사 반대한다.”고 했기 때문이다. 상주 청리면 출생인 이재헌은 조하현(曺夏賢, 손자: 조명좌·희좌·순령)의 손위동서다.

*정귀령 8세손이 정영후(鄭榮後)인데 정영후 사위가 고령 도진의 박응형(朴應衡, 1605~1658, 부: 박창선, 조부: 박정번)이다. 박응형은 조하현(曺夏賢, 1633~1676)의 장인어른이며, 조하현 아들은 조징(曺澂, 1668~1714, 아들: 무신혁명 조명좌·희자·순령)이다. 조하현 손위동서는 상주 청리 출생인 생원 이재헌(李在憲, 1631~1696)인데, 이재헌은 1678년(숙종4) “송시열을 1675년(숙종1) 정계에서 축출한 일을 종묘(宗廟)에 고(告)해야 한다”고묘소(告廟疏)를 올린 인물이다.

(1728년 무신혁명 대장군 휘 聖佐 8세손 曺濽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