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문자수
  • 오늘306
  • 어제36
  • 최대306
  • 전체 22,531

창녕조씨태복경공파
뿌리탐구

창녕조씨유래, 시조, 태복경공, 가문을빛낸인물, 향사일정, 항렬표,....

가문을빛낸인물

로고 > 뿌리탐구 > 가문을빛낸인물

좌부승지 창성군 조계형 연보

페이지 정보

孤竹先生 작성일24-06-04 10:46 조회126회 댓글0건

본문

□ 좌부승지 창성군 조계형(曺繼衡) 연보

*1470년(성종1)~1518년(중종13)-나 찬용 15대(16세) 조부다.

*퇴우당(退憂堂) 조계형은 창성군(昌城君)에 봉해지고, 대구도호부사 조응인의 조부임.

◦1470년(성종1) 5월 5일 단오: 종5품 부사직(副司直)을 역임한 아버지인 조순(曺珣)과 어머니인 안동권씨(권회 딸) 사이에 차남으로 출생함. 앞서 조순(曺珣)이 처가(妻家, 장인: 서천군수 권회) 동네인 상주 이안면으로 이사옮. 조계형 외삼촌이 창원부사 권유순(權有順, ?~1463, 권회 장남)이고, 조계형 이모부 정사주(鄭師周, 조순 손위동서)는 인근 예천 우망동에 세거했는데, 정사주 사촌동생이 호조판서·우참찬 정난종(鄭蘭宗, 1433~1489)임.

-창성군 조계형은 함창(문경 영순면)의 허백당 홍귀달(虛白堂 洪貴達, 1438~1504) 및 함창(상주 이안면)의 나재 채수(懶齋 蔡壽, 1449~1515)에게 수학함. 이때 함께 수학한 동문은 안동 예안 출생인 농암 이현보(聾巖 李賢輔, 1467~1555) 등이 있음. 홍귀달은 대제학 등을, 채수는 평안도관찰사 등을, 이현보는 호조참판 등을 역임함.

*허백당 홍귀달 6세손이 목재 홍여하(木齋 洪如河, 1620~1674)이고, 홍여하 손자 홍익귀(洪益龜)1728년(영조4) 3월 무신혁명 이인좌(李麟佐, 외조부: 조하주·曺夏疇)의 자형임. 홍익귀 이모부는 지례현감 정찬유(鄭纘儒, 1681~1712)인데, 정찬유는 무신혁명 정희량(鄭希亮)의 형님이고, 홍익귀 외조부는 유운룡(유성룡 형)의 현손인 유후광(柳後光)이며, 유후광의 사위가 정희량 형님인 정찬유임. 또한 상주 우물리 입향조인 유진(柳袗, 유성룡 아들)의 손자인 유학 유장하(柳章河, 유응하<柳應河, 1660~1713, 조성좌·曺聖佐 고모부> 형님)의 처조부가 호조정랑 황덕유(黃德柔, 상주 모동면 출생, 황희 9세손, 현손서: 대산 이상정)인데, 황덕유 사위가 홍익귀 아버지 홍여하(洪汝河, 사간)임. 유장하 아들인 유후인(柳後寅, 유성룡 현손)은 무신혁명 조형(曺泂, 일엽청, 조성좌 9촌 아재)의 사위임.홍익귀 이인좌 정희량 조성좌1728년(영조4) 무신혁명 실패로 처형됨.

-창성군 외조부는 상주 이안면의 권달수(權達手, 1469~1504, 교리) 증조부인 서천군수 권회(權恢)임. 조하전(曺夏全, 창성군 7세손, 무신혁명 조성좌 조부) 맏사위인 유학 권필경(權必經, 1660~1730, 일명: 權是經)은 권회 10세손임. 안동권씨검교공파(檢校公派)임. 물암 권시경(勿庵 權是經, 권달수 7세손)의 종증조부가 임란 때 소실된 산청읍 환아정(換鵝亭)을 1607년(선조40) 중건(重建)한 산음현감 권순(權淳)임.

-권시경(권필경) 손아래동서, 즉 조하전(曺夏全,1627~1684) 막내사위는 상주 중동면 우물리 입향조인 수암 유진(修巖 柳袗, 1682~1735, 정랑)의 손자인 유학 유응하(柳應河, 1660~1713)임. 유응하 큰형님이 유장하(柳章河)임. 또한 1728년 무신혁명때 처형된 조정좌(曺鼎佐, 고조: 조정생)의 형님이 조석좌(曺錫佐, 1687~1727.6, 둘째장인: 송하형)인데, 조석좌 첫장인은 권회(權恢, 사위: 조순) 11세손인 권홀(權鍃, 1659~1691)임. 창성군 배위 익산이씨의 외조부는 1455년(세조1) 오위(五衛) 정7품 관직인 사정(司正)에 재직한 김원석(金元石)임.

*상주 이안면 여물리 권달수는 1492년 식년시 병과에 급제하여 정언·부교리 등을 역임함. 권달수는 1504년 연산군의 생모 윤씨의 종묘 배향을 반대하다 옥사함.

◦1495년(연산1) 10월: 증광시 진사시 100인 중 1위로 급제 (26세)

◦1501년(연산7): 식년시 2등(二等) 7인 중 1위로 급제 (32세)

◦1505년(연산11) 2월: 지제교, 8월: 호조참의 특배

◦1505년(연산11) 9월: 종2품인 호조참판 (36세)

◦1506년(연산12) 5월: 동부승지, 7월: 우부승지 (37세)

-이때 우부승지는 종2품 가선대부로, 중종반정 후 정3품으로 환원됨.

◦1506년(연산12) 9월 2일: 중종반정 발발 (37세)

◦1506년(중종1) 9월 8일: 정국공신(靖國功臣) 4등에 봉해짐. (37세)

-4등 신은윤(辛殷尹, 1458~1508, 지평)에게 내린 정국공신 교서(敎書)에 조계형은 4등으로 돼 있음. 이 때 정국공신은 117명임.

*조계형에게 내린 은전(恩典)은, 도형(圖形: 초상) 1점, 반당(伴儻: 심부름꾼) 2명, 노비 4구, 구사(丘史: 관노비) 1명, 전(田) 40결(結), 은(銀) 10냥, 표리(表裏: 옷) 1단, 내구마(內廏馬: 말) 1필임. 또한 부모와 처자에게 작(爵)을 주고, 적장(嫡長)은 세습하며 그 녹(祿)을 잃지 않게 하고, 유(宥: 사면)는 영세(永世)에 미치는 은전도 받음. cgh.jpg

좌부승지 창성군 조계형(37세) 초상 원본이다. 칼러인데 흑백으로 현상한 사진이다. 1506년(중종1) 정국공신 4등에 책록돼 중종 임금이 하사했다. 97.5㎝×188㎝, 위 원본은 근래에 분실했다.2.png

좌부승지 창성군 조계형(37세) 초상이다. 1506년(중종1) 정국공신 4등에 책록돼 중종 임금이 하사했다. 97.5㎝×188㎝ <사진출처: 매호 창녕조문(曺門)이 상주박물관에 기탁, 파일: 조연남 학예팀장이 2021년 4월 위 이미지 파일 제공>

◦1506(중종1) 9월 13일: 창성군(昌城君)으로 봉군되고, 9월 14일: 종2품 가선대부 좌부승지에 임명됨. (37세)

◦1506년(중종1) 10월 10일: 좌부승지에서 체직됨. 이때부터 폐주(연산군)의 측근이라 하여, 이후 50여 차례의 파직하라는 청(상소)이 이어지게 됨. (37세)

◦1507년(중종2) 1월: 대간의 청으로 파직됨. (38세)

◦1507년(중종2) 6월: 충훈부 당상(忠勳府唐上) 유자광(柳子光, 1등)과 손자 유승곤(4등)이 정국공신(靖國功臣)에서 삭적(削籍)됨. (38세)

◦1510년(중종5)~1512년: 풍기군수 (41세~43세)

-1512년 사촌동생 조한필(曺漢弼, 1486~1536)은 대교(待敎, 정8품)에 재직함.

◦1513년(중종8) 9월: 감옥에 갇혀 10차례의 형문(刑問)을 당하는 등 약 4개월 수감됨. (44세)

-"조계형이 전에 풍기군수로 있을 때 삼[麻]을 많이 심고, 무릇 가동(家僮)을 (감옥에) 가둘 때에는 반드시 여인(女人)을 (함께) 가두어 길쌈을 시켰고, 또 그 경내(境內)에 새로 노(奴)의 집을 지어 놓고 장리(長利, 고리대금)를 놓았으며, 또 함창·상주 두 고을 땅에 각각 큰 집을 짓는데 아전(衙前)으로 하여금 양식을 싸가지고 다니며 부역하게 했고, 또 어떤 사람이 풍기에서 단양(丹陽) 사는 사람과 노비 송사를 했는데, 단양 사람에게 판결하여 주고 그 종(노비)을 받고서, 제 매부(妹夫) 진사원(秦士元, 주: 조순 막내사위)이 샀다고 핑계하며 몰래 부렸다"고 하여 수감된 것임.

◦1513년(중종8) 10월: 박영문(1등, 전 공조판서)·신윤무(辛允武, 1등, 병조판서)·박영창(3등)·신윤문(辛允文, 3등) 등 7명이 정국공신(靖國功臣)에서 삭적(削籍)됨.

◦1513년(중종8) 12월: 아들인 유학(幼學) 조언홍(曺彦弘)이 감옥에 갇혀 있는 아버지의 억울함을 의금부에 상소함. (44세)

-조언홍은 그후 오위(五衛)의 종6품 무직(武職)인 부사과(副司果)를 역임함.

*조언홍 장남 조몽석(曺夢錫, 동생: 조몽길 1521~1561)의 장인이 달성군 하빈면 출생인 박필종(朴必種, 1534~1596)인데, 유학 박필종 고조부가 사육신 박팽년(朴彭年, 1417~1456, 형조참판)임.

-조언홍의 동생인 조언박(曺彦博, 1509~1547)은 1540년(중종35) 식년시 병과에 급제하여 호조좌랑(戶曹佐郞, 정5품)을 역임함. 조언박은 아버지(조계형)의 4촌 동생으로 강원도 감사를 지낸 당숙인 조한필(曺漢弼, 1486~1536, 장인: 인천부사 이승원)에게 출계(出系)함.

*조언박(曺彦博, 생부: 조계형, 장인: 윤류·尹瑠) 처증조가 충청감사 윤탄(尹坦, 부: 윤삼산, 조부: 이조판서 윤곤)인데, 윤탄 형 윤오(尹塢)의 사위인 함안 산인면 모곡 출생 이조참판 이맹현(李孟賢, 1436~1487, 조부: 함안 입향조 이오, 재령이씨, 외조부: 성주목사 하경리)은 노비가 무려 758명이나 되는 부호였음. 즉 조계형-조언홍, 조한필-조언박 문중이 재력까지 겸비한 명문가 반열(班列)에 속했음을 알 수 있음. 

<서울 및 71군현 758명 현황>

서울 147명(19.4%), 함흥 67명(8.8%), 고향인 함안 49명(6.5%), 임실 32명(4.2%), 임진(臨津, 문산-파주) 28명(3.7%), 기타 66지역(57.4%) 등

-위 758명 출처: 1494년(성종25) 작성한 '이애(李璦, 1480~1561, 울진현령, 이맹현 6자) 남매 화회문기(和會文記, 분재기·分財記)'

*파평윤씨대동보 권1 신묘보(辛卯譜2011년 발행) 234쪽에 윤류(尹瑠, 부: 철원부사 윤상로, 조부: 이조판서 윤탄, 증조: 윤삼산) 사위 조언박이 등재돼 있지 않는 건 1728년(영조4) 무신혁명조언박 후손들(조세추 등)이 대거 핵심세력으로 참여했기 때문에 족보에서 빼버렸음.

*조언박(曺彦博계배父: 윤류, 조부: 철원부사 윤상로) 장인은 효령대군(이보) 현손이며, 의성군(誼城君, 이채)의 증손인 부호군(副護軍, 종4품) 이승강(李承綱, 1484~1554, 부: 이주, 동생: 현감 이승상)임. 이승강은 인천부사 이승원(李承元, 1463~1513, 사위: 조한필)의 사촌동생임. 또한 조언박 사위가 형조참판·대사헌 이식(李拭, 1522~1587)임. 이식은 죽산현감 이승상(李承常, 1490~1547, 묘소: 고양군 견달산, 형: 이승강)의 아들이고, 이승상은 이승강(李承綱, 묘소: 포천군 내촌면 팔야동)의 동생임. 이승강·승상 자형은 좌의정 돈재 성세창(遯齋 成世昌, 1481~1548)임. 이승원·승강은 이혼(李渾) 8촌 형님인데. 이혼 증손자가 임실 오수면 둔덕의 천묵재 이상형(天黙齋 李尙馨, 1585~1645, 정언)임. 이승강·승상은 효령대군(이보)의 현손 및 의성군(誼城君, 이채, 효령 장자)의 증손임.

이상형 손자 참봉 이성호(李聖虎, 1632~1682)는 양산군수 조시량(曺時亮, 1728년 무신혁명 때인 3월 21일 고향 묘산에서 기병한 조성좌 증조부)의 네째 사위고, 이성호 사촌동생 참봉 이성진(李聖眞, 1645~1701)은 조숙(曺淑, 조석좌무신혁명 조정좌·정임 아버지)의 장인임. 이성진 장남인 왕자사부 이이근(李頤根, 1668~1730)은 조하현(曺夏賢, 1728년 무신혁명 조명좌·희좌·순령 조부) 사위임. 양산군수 조시량 둘째 사위인 이설(李卨+木, 1622년생, 묘소: 합천 봉산면 봉계리 거안)은 이성호 17촌 아재임.

*이혼(李渾, 1513~1576, 증조: 효령대군 차남인 서원군 이친) 8촌 형님인 용강현령 이대(李薱, 1488~1543, 증조: 효령대군 삼남인 보성군 이합, 외손자: 병조판서 심의겸)는 정주목사 조정립(曺挺立, 조성좌 고조부)의 맏사위인 전라좌수사(정3품) 이민발(李敏發, 1599~1670)의 고조부임. 이민발 아버지 형조판서 구촌 이명(龜村 李溟, 1570~1648)은 합천의 강대수 및 안음의 정온(鄭蘊)과 친했음. 이민발 14촌 동생이 이설(조시량 둘째 사위)임. 이명(李溟)은 효령 삼남인 보성군 이합 7세손으로, 조선 중후기 경창군 이주(조명욱 사위) 후손들과 함께 현달한 왕족임.

*블로그 '1728년(영조4) 무신혁명(이인좌의 난)과 조성좌 선조' 참조: https://blog.naver.com/antlsguraud/220823091495

◦1514년(중종9) 2월: "임금이 전교했다. 승지 윤장(尹璋)·조계형(曺繼衡)·이우(李堣, 주: 퇴계 이황 삼촌) 등은 반정하던 날 정원(政院, 승정원)에 입직(入直)했다가 화(禍)를 모면하기 위해 나가서 사변(事變, 주: 중종반정)을 보고 오겠다 핑계하여 폐주(廢主, 주: 연산군)를 속이고 궁성(宮城)의 수구(水口)로 앞을 다퉈 도망쳤으되 도리어 훈적(勳籍)에 기록됐으니 지극히 어그러진 일이다. 아울러 삭탈하여 절의(節義)를 권려(勸礪, 힘써 권함)하라."고 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 훈적(勳籍)이 삭적(削籍)됨. (45세)

-입직(入直) 승지(承旨)로서 반정 당시 폐주 연산군을 끝까지 보호하지 않고 자신들의 안위만 도모하여 절의(節義)를 저버렸다는 이유임.

*병자호란 때인 1637년(인조15) 1월 30일 인조가 전대미문의 치욕적 항복을 하던 날, 예조판서 김상헌은 임금을 버리고 멀리 도망갔지만 처벌 받지 않고 조선을 좌지우지했음. 승자이기 때문임.

"김상헌은 남한산성에서 굴복하던 날 임금은 헤아리지 못할 위험에 빠졌고 신민은 망극한 심정이 모두 같았으니, 자신을 우선하고 임금을 뒤로 하는 것은 의리상 하지 못하는 바이다. 상헌(尙憲)이 이미 (이조참판) 정온(鄭蘊)처럼 칼로 할복하지 못했다면 화복(禍福)을 시종 전하와 함께 해야 하는데, (예조판서 김상헌은) 빠져나와 멀리 달아나 애당초 염려하지 않았고, 당시의 일이 대충 안정되었는데도 끝내 성상(주: 인조)을 찾아와 뵙지 않았다. 편안한 곳에서 쉬며 왕실을 돌아보지 아니하고, 자위하기를, 몸을 깨끗이 하고 절의를 지키며 더러운 임금을 섬기지 않는다고 하면서 이론(異論)을 고취시켜 국가의 잘못을 드러내고 사람들의 뜻을 혼란시켰으니, 아, 신하의 의리가 이에 이르러 하나도 남은 것이 없다. 명예를 구하느라 임금을 팔아먹고 붕당을 세워 국가를 그르친 것이 다만 상헌(尙憲)의 여사(餘事)일 뿐이다. 임금을 업신여기고 부도덕한 죄를 징계하지 않을 수 없으니, 극변으로 위리 안치하라 명하소서."(인조실록 16년 1638년 7월 29일, 장령 박계영 및 유석 아뢤)

하지만 인조가 윤허하지 않음. 병자호란 때 척화파 김상헌과 달리 화의파인 영의정 최명길은 '만고의 역적'이 됐음. 교조적 성리학자인 김상헌, 송시열, 최익현 등 서인들이 득세함. '적과 아군, 이단과 성리학, 실사구시와 사단칠정론'으로 편을 갈라 기득권을 강화하고 무능과 부패로 나라가 망함. 지금에도 이 모든 책임을 일본에 전가하고 있음.

◦1518년(중종13) 1월 6일: 사망함. 묘소는 상주시 공검면 율곡리 산 71번지에 아내인 익산이씨와 상하분 (49세)

*익산이씨의 아버지는 김해부사 이정양(李貞陽)임.

-묘비명(墓碑銘)은 생조부(生祖父)로 조계형의 증손자이며 호성, 선무, 정난 원종1등 공신에 책훈되고 호조참판 등을 역임한 이양당 조탁(二養堂 曺倬, 1552~1621)이 지었음. 그러나 1728년 무신혁명 실패로 묘비 등이 훼손돼 묘비명(墓碑銘)은 전해지지 않음.

*조몽정(曺夢禎, 1535~1595, 조한필 손자) 아들인 이양당 조탁은 한의학서인 이양편(二養編)을 1613년(광해5)에 간행한 인물임. 이양당과 그의 아들 조명욱(이천부사) 묘소는 풍산읍 만운리 만운저수지 위 종미골 산 118-6번지(현 풍산읍 매곡리 영양남씨 소유)에 있음. 1728년(영조4) 무신혁명 실패 후 직계 후손인 조명신, 조경강, 조세추·세모 등이 처형돼 방치됨. 

*블로 '한성판관 조실구-온양정씨 표지석을 세우다.' 참조: https://blog.naver.com/antlsguraud/222288816789

한성판관 조실구(曺實久, 1591~1658, 부: 조명욱, 처남: 필선 정뇌경)의 아들(양자)인 매호 조하주(梅湖 曺夏疇, 1650~1725, 성호 자형) 묘소는 광주시 오포읍 신현리 추현(태재) 산 104-2번지(1289㎡) 조언박((曺彦博, 조계형 차남, 조한필 양자) 묘소 40m 아래에 있었는데, 충주 용산동 1105번지 9/4 조인현이라는 사람이 후손이라고 주장하며 2000년 초쯤에 충주로 이장해 감. 조몽정 자형이 형조참판·대사헌 이식(李拭, 1522~1587)임.

*블로그 '파괴된 호조참판 이양당 조탁(二養堂 曺倬) 및 아들 조명욱 묘소' 참조: https://blog.naver.com/antlsguraud/221143211589

-퇴우당 조계형 생일날인 음력 5월 5일 단오날 낮 12시경에 퇴우당의 영정(影幀)이 보관돼 있는 상주시 사벌면 매호리 경모재(景慕齋)에서 향사(享祀)를 지냄. 창성군은 시(詩)와 문장에 능했으나 1728년(영조4) 무신혁명(이인좌의 난) 등으로 인해 소실돼 현재 남아 있지 않음.

◦1518(중종13) 12월~1519년(중종14) 11월: 정국공신(靖國功臣) 이효성·유순(柳洵)·김수동 등 76명이 삭훈(삭적)됨. (사후 1년)

◦1519년(중종14) 12월: 11월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 조광조 등 70여명이 죽고, 12월 정국공신 76명의 녹훈이 복작(復爵)됨. 최종 107명이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조계형·이우·박영문 등 10명은 복작되지 못함. (사후 2년)

-기묘사화는 남곤·홍경주 등 훈구파에 의해 조광조(趙光祖) 등의 신진 사류들이 숙청된 사건임.3.jpg

▲조순(曺珣, 1421~1482.9.22, 아들: 조계권·계형) 및 안동권씨(安東權氏, 1420~1471.6.1, 주: 권회) 묘소(합분): 경북 상주시 공검면 율곡리 산 71에 있다. 종5품 부사직(副詞職)을 역임했다. 안동권씨는 차남 조계형을 낳고 1년 후 별세했다. 상주 입향조(入鄕祖)다. 즉 조순(曺珣)이 처가 동네인 함창 이안면 여물리로 이사왔다.

600년 전 기록인 세종실록 지리지 '상주목-용궁현(龍宮縣) 편'에 따르면, 조순(曺珣)공이 창녕 고암면이 아닌 진해(웅천)에서 이주해 온 것일 수도 있다. 위에 조순 장남인 조계권(曺繼權, 부사과) 묘소도 보인다. <사진출처: 1997년 조사순 '昌寧曺氏의 뿌리'>4.jpg

贈 嘉善大夫 吏曹參判 行 禦侮將軍 副司直 昌寧 曺公 諱 之墓, 贈 貞夫人 永嘉權氏 合窆(증 가선대부 이조참판 행 어모장군 부사직 창녕 조공 휘 지묘, 증 정부인 영가권씨 합폄), 2020년 11월 18일 묘사 때 촬영!5.jpg

▲조순(曺珣, 1421~1482.9.22, 아들: 조계권·계형) 및 영가(永嘉: 안동)권씨(權氏, 1420~1471.6.1, 부: 권회) 묘소(합분): 경북 상주시 공검면 율곡리 산 71에 있다. 부사직(副詞職, 종5품)을 역임했다. 맨위 묘소는 조순 장남인 조계권(曺繼權, 종6품 부사과) 묘소다. 위 산 17번지는 창녕조씨-인천채씨-안동권씨 삼문(三門) 문중 명의로 돼 있다. 이곳에서 직선거리로 좌측 900m 위쪽에 차남인 좌부승지 퇴우당 조계형-익산이씨 묘소가 있다.

6.jpg

조계권(曺繼權)-파평윤씨 묘소(합분)다. 先畧將軍 行 忠佐衛 副司課 昌寧 曺公 諱 繼權之墓, 配 淑夫人 坡平尹氏 合窆(선약장군 행 충좌위 부사과 창녕 조공 휘 계권지묘, 배 숙부인 파평윤씨 합폄)이다. 조순(曺殉) 장남이다.7.jpg

▲2020년 11월 18일 묘사 때 촬영!8.jpg

좌부승지 퇴우당 조계형(曺繼衡, 1440.5.5~1518.11.6)-익산이씨(益産李氏, 1472~1543.1.6) 묘소(상하분): 상주시 공검면 율곡2리(밤실) 산 1번지(128132㎡)에 있다. 그러나 위 비문(묘갈명)에는 淑夫人益山李氏之墓 通政大夫 承政院 右副承旨 兼 經筵參贊官 春秋館 修撰官 昌寧曹公 繼衡之墓(숙부인익산이씨지묘 통정대부 승정원 우부승지 겸 경연참찬관 춘추관 수찬관 창녕조공 계형지묘)로 전액했다. 좌부승지(左副承旨)로 하지 않은 게 의아하다. 무신혁명 실패 후 묘갈이 파괴되기 전에는 증손자인 호조참판 이양당 조탁(二養堂 曺倬, 1552~1621)이 묘갈명을 지은 비석이 서 있었다. 비문은 전해지지 않는다.

1728년 무신혁명 실패 후 묘갈이 파괴됐다는 것은, 묘갈(비석) 형태가 아버지(조순)-큰아버지(조계권) 및 아들(조언형) 것과 다른 것에서도 쉽게 알 수 있다.

등기부에 창영조씨퇴우당파종회로 등기돼 있다. 창영창녕의 오기다. 직선거리로 우측 900m 아래에 부모님 조순-파평윤씨 묘소(합분)가 있. 1996년 1월 28일(일) 내가 촬영했다.

10.jpg

11.jpg

12.jpg

부사과(副司果) 조언홍(曺彦弘, 1491~1552.8.17, 부: 조계형) 및 배위 영월신씨(寧越辛氏, 1493~1546.2.15) 묘소(합분): 상주시 공검면 율곡2리 산 1번지에 있다. 恭人 越城辛氏之墓 敦勇校尉 行 忠佐衛 副司果 昌寧曹公 彦弘之墓(공인 월성신씨지묘 돈용교위 행 충좌위 부사과 창녕조공 언홍지묘), 부모(조계형-익산이씨) 묘소 50m 서쪽에 있다. 조언홍 처외조는 언양현감 성세신(成世臣)이다. 밑에서부터 2장은 1996년 1월 28일 내가 촬영했다. (위 사진 중 아래 2장에 맨위 상석-망주석이 있는 묘소는 타인 묘소)13.jpg

▲좌측 위 붉은점부터 1.조언홍-영월신씨 묘소(합분), 2.조계형-익산이씨 묘소(상하분), 3.조계권-파평윤씨 묘소(합분), 4.조순-안동권씨 묘소(합분)15.jpg

▲2007년 6월 19일 향사 때19.jpg

▲정국공신 4등에 책록된 37세 좌부승지 조계형(曺繼衡, 1470~1518초상이다. 상주 사벌면 매호2리 550번지 창녕조씨 경모재(景慕齋)에 봉안돼 있다. 2001년 6월 25일(음력 단오) 촬영!20.jpg

▲정국공신 1등에 책록된 48세 이조판서 유순정(柳順汀,1459~1512초상이다. 110㎝×172㎝, 창성군 조계형 초상과 비슷하다. 중종 임금의 명에 따라 궁정 화원이 초상을 그렸기 때문에 의관·구도 및 색감 등이 많이 닮았다.